728x90
반응형
[찬성 vs 반대]
- 찬성
① 범죄 억제 효과 큼
② 흉악범의 생명을 박탈하는 것은 사회적 정의
③ 종신형은 경제적 부담이 크고 비인간적
④ 범죄에 대한 비례성의 원칙에 따라 과도한 형벌이 아님
⑤ 과학 수사와 제도 보완을 통해 오판 가능성 줄어듬
⑥ 국민의 일반 법 감정이 사형제도 지지
- 반대
① 범죄 억제 효과의 증거 없음
②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권을 침해
③ 교화라는 형벌의 목적에 부적합
④ 범죄자의 재사회화 가능
⑤ 오판 가능성
⑥ 정치적 수단으로 악용
[사상가들의 주장]
- 칸트
① 응보주의적 관점 → 살인자는 처형
② 범죄자의 고통받는 인격을 해방 → 인간 존엄성을 실현
③ 사형제도는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는 수단
- 루소
① 사회계약론적 관점 → 계약 위반에 대한 응보적 성격
② 살인자는 계약 위반으로 자신이 죽임을 당해도 좋다고 동의한 것
③ 시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
- 베카리아
① 공리주의적 관점
→ 사형보다 종신 노역형이 범죄 억제 효과가 더 큼
→ 형벌의 목적은 보복이 아니라 교화
② 사회계약론적 관점
→ 생명은 양도할 수 없는 것이므로 사회 계약을 이유로 사형할 수 없음
[예방론]
- 전제 조건
① 형벌은 범죄 예방을 위해 시행
→ 범죄 예방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실현(공리주의적 관점)
② 형벌은 고통 - but - 범죄 예방을 위해 형벌은 필요악
③ 사형으로 인한 해악보다 사회적 이익이 큰 경우
- 특수 예방주의 관점
① 사형 제도는 범죄자의 생명을 박탈하여 형벌의 목적인 범죄자를 교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사형 제도 반대
728x90
반응형
'사회탐구공장 > 생활과 윤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 정의와 윤리] 교정적 정의와 윤리적 쟁점 (0) | 2021.06.19 |
---|---|
[사회 정의와 윤리] 분배적 정의와 윤리적 쟁점 (0) | 2021.06.19 |
[사회 정의와 윤리] 롤스와 노직의 절차적 정의 비교 (2) | 2021.06.18 |
[사회 정의와 윤리] 사회 정의 (0) | 2021.06.18 |
[사회 정의와 윤리] 니부어 (0) | 2021.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