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과학탐구공장/생명과학 9

[유전] 유전 용어 정리

꼬리를 무는 유전 용어 ▶ 유전이 무슨 뜻인가요? 부모의 형질을 자녀에게 전달하는 것을 유전이라고 해. ▶ 형질은 또 뭐예요? 생물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성을 형질이라고 해. 예를 들면 곱슬머리, 파란 눈, 금발처럼 모양이나 색 같은 게 있어. ▶ 대립 형질이란 말도 있던데요. 대립 형질은 하나의 형질 안에서 뚜렷하게 대비되는 특징을 가진 형질을 말해. 둥근 콩과 주름진 콩이 대표적인 대립 형질이야. 그런데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게 있어. 대립 형질은 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거지. 즉, 대립 형질을 결정짓는 요소인 대립 유전자가 존재한다는 거야. ▶ 대립 유전자가 대립 형질을 결정짓는다는 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대립 유전자는 우성과 열성, 두 가지가 있어. 둥근 콩이 우성이고, 주름진 콩..

[유전] 생식세포 분열(감수 분열)의 DNA 상대량과 염색체 수의 변화

제 1분열 간기의 DNA 상대량과 염색체 수 간기는 체세포 분열과 생식세포 분열 사이에 큰 차이가 없어. 그럼 체세포 분열에서 배웠던 간기를 다시 한번 되짚어 보기로 하자. ① 간기는 G1기 → S기 → G2기로 진행 ② 염색사 형태로 존재 · 그래서 위 그림을 보면 방추사와 연결되는 동원체가 없는 거야. ③ G1기 · DNA 상대량 = 2(4 × 0.5 = 2) · 2n = 4(쌍이 존재하니 핵상은 2n, 염색체 수는 4개) ### DNA 상대량 ### DNA 상대량이란 다른 것과 비교하기 위해 정한 상대적인 값이야. 그러니까 쉽게 말해서 마음대로 정해도 된다는 거지. 여기서는 G1기의 DNA 상대량을 2로 정하도록 할게. 염색분체 2개를 DNA 상대량 1로 정한 거야. 쉽게 말해서 막대 하나당 0.5..

[유전] 체세포 분열의 DNA 상대량과 염색체 수의 변화

간기의 DNA 상대량과 염색체 수 ① 간기는 G1기 → S기 → G2기로 진행 ② 염색사 형태로 존재 · 그래서 위 그림을 보면 방추사와 연결되는 동원체가 없는 거야. ③ G1기 · DNA 상대량 = 2(4 × 0.5 = 2) · 2n = 4(쌍이 존재하니 핵상은 2n, 염색체 수는 4개) ### DNA 상대량 ### DNA 상대량이란 다른 것과 비교하기 위해 정한 상대적인 값이야. 그러니까 쉽게 말해서 마음대로 정해도 된다는 거지. 여기서는 G1기의 DNA 상대량을 2로 정하도록 할게. 염색분체 2개를 DNA 상대량 1로 정한 거야. 쉽게 말해서 막대 하나당 0.5라고 생각하면 편해. 다른 교재에서는 1이던데 뭐가 맞나요? 라고 물으면 안돼. 그건 정하기 나름이니까. 알아야할 건 DNA 상대량이 시기마..

[유전] 생식세포 분열(감수 분열)

생식세포 분열이란? ▶ 생식이란? 생물은 자신과 닮은 자손을 만드는데 이걸 생식이라고 해. 그리고 생식에 관여하는 정자와 난자를 생식세포라고 한단다. ▶ 생식세포 분열은 뭔가요? 말 그대로 생식세포가 분열하는 방식을 생식세포 분열이라고 해. 체세포 분열과 다른 점은 ① 세포 분열이 두 번 연속해서 일어난다는 점 ② 염색체 수가 그대로인 체세포 분열과는 달리 염색체 수가 모세포의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점 이 두 가지를 들 수 있어. 그래서 염색체 수가 줄어든다는 의미로 생식세포 분열을 감수 분열이라고도 부르는 거야. 생식세포 분열 과정 ▶ 기본개념 생식세포를 형성하기 위해 일어나는 세포 분열 ① 2회 연속 분열 ② 기본 과정 : 1분열 + 2분열 ③ 1분열 : 간기 → 전기 → 중기 →후기 → 말기 (→ 세..

[유전] 세포 분열이 필요한 까닭

세포와 성장 ▶ 성장을 하면서 몸집이 커지는 이유 사람과 같은 다세포 생물은 성장하면서 몸집이 커져. 이건 세포의 크기가 커져서가 아니라 세포 수가 늘어나기 때문이야. ### 세포 분열 ### 세포 하나가 두개로 나누어져 세포의 수가 늘어나는 과정을 세포분열이라고 해. ▶ 세포의 크기가 커져도 될 텐데 왜 분열하는 걸까요? 이걸 알려면 우선 세포의 역할이 무엇인지 알아야 해. 그럼 세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볼까? ① 세포는 원활한 생명 활동을 위해 물질 교환을 해. ② 물질 교환이란 필요한 물질을 흡수하고, 필요없는 물질을 내보내는 과정을 말하지. ③ 물질 교환은 세포의 겉면, 즉 세표 표면을 통해 일어나. ### 생각해보기 ### 똑같은 부피라고 할 때, 세포가 커지는 것과 세포의 수가 늘어나는 것, 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