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어공장/국어문법 6

[문장] 겹문장의 형태(1) 이어진 문장

유형 [유형1]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유형2]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and(그리고) | but(하지만, 그러나) | 선택(~든지) ① and(그리고) 인생은 짧다. (그리고) 예술은 길다. →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② but(하지만, 그러나) 공부를 열심히 했다. (하지만) 시험을 망쳤다. → 공부를 열심히 했지만 시험을 망쳤다. 나는 공모전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친구는 탈락했다. → 나는 공모전에 당선되었으나 친구는 탈락했다. ③ 선택(~든지) 공부를 하든지 노래를 듣든지 하나만 해라.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원인(그래서) | 의도(~위해서) | 양보(~하더라도) | 가정 or 조건(~한다면) ① 원인(그래서) 비가 왔다. (그래서) 체육대회가 취소되었다. → 비가 와..

[문장] 홑문장과 겹문장

정의 홑문장 :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 나타나는 문장 겹문장 :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구분법 용언의 개수가 하나면 홑문장 예) 철수와 영희는 부산에서 만났다. 용언의 개수가 둘 이상이면 겹문장 예1) 그녀는 예쁜(예쁘다) 옷을 입었다. 예2) 그는 어엿한(어엿하다) 신사가 되었다. 예3) 삼촌이 어린(어리다) 조카에게 생일 선물을 주었다. 쉽게 생각해서 뒤에 '~다'가 붙는 말이 용언입니다. '~다'가 붙는 말을 찾아봐요.

[중세국어] 훈민정음

원문 읽기 (고어를 조금 부드럽게 읽어 볼까요?) 원문 해석 (하나 하나 분리해서 해석해볼까요?) 원문 분석 (하나씩 이유를 정확하게!) 마무리 정리 (이 정도는 알아야겠지?) 1. 문법과 표현 음운 • 소실 문자(ㅸ, ㆆ, ㅿ, ㆁ, ㆍ) 모두 사용 • 어두 자음군 사용 문법 • 명사형 어미 ‘-옴/움-’이 사용 • 'ㄹㅇ' 활용형 사용 • 비교 부사격 조사 ‘에’ 표기법 • 이어적기 주로 사용 • 8종성 표기법 사용 •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법 사용 어휘 • 의미의 이동 • 의미의 축소 2. 성조와 방점 평성 무점 낯은 소리 임진왜란 이후 성조 소멸 거성의 장음은 현대에도 존재 거성 점 ( 1 )개 높은 소리 상성 점 ( 2 )개 처음이 낮고 나중이 높은 소리 입성 특별히 마련하지 않음 빨리 그치는 ..

[단어] 형태소의 종류

[구분 기준] 형태소는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하나는 자립성이고, 또다른 하나는 의미의 실질성입니다. 자립성은 혼자서 쓰일 수 있는지, 다른 말의 도움이 필요한지 하는 부분입니다. 의미의 실질성은 형태소 하나가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판단합니다. [형태소의 종류] 자립성 자립 형태소 다른 말의 도움 없이 혼자 사용 가능(명사만 해당) 의존 형태소 다른 말의 도움이 필요(명사 이외의 것) 의미의 실질성 실질 형태소 실질적 의미 있음(명사 & 어근 : 형태소 이외의 것) 형식 형태소 실질적 의미 없음(접사, 조사, 어미) *** 어근과 어간은 따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접사, 조사, 어미를 빼고 나머지는 실질 형태소라고 생각하는 것이 구분하기 쉽습니다. [꽃 사이로 발자국을 찾아 ..

[단어] 어절, 단어, 형태소

[구분] 1. 어절 : 띄어쓰기와 동일합니다. 2. 단어 : 분리하여 자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입니다. ① 쉽게 말해서 품사에 해당합니다. ② 품사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가 있습니다. ③ 합성어는 단어 하나로 취급합니다. 3. 형태소 : 국어에서 문법 단위 중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① 합성어는 합성 전 상태로 나눕니다. ② 파생어는 파생 전 상태로 나눕니다. ③ 어근, 연결어미, 선어말어미, 어말어미와 같이 문법적으로 나눌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나눕니다. [꽃 사이로 발자국을 찾아 나서면] 1. 어절 : 띄어쓰기 그대로 자르세요. 꽃 / 사이로 / 발자국을 / 찾아 / 나서면 2. 단어 : 자립적인 말들을 찾아서 분해해봅시다. ① 위에서 나눈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