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구분 기준]
형태소는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하나는 자립성이고, 또다른 하나는 의미의 실질성입니다.
자립성은 혼자서 쓰일 수 있는지, 다른 말의 도움이 필요한지 하는 부분입니다.
의미의 실질성은 형태소 하나가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판단합니다.
[형태소의 종류]
자립성 | 자립 형태소 | 다른 말의 도움 없이 혼자 사용 가능(명사만 해당) |
의존 형태소 | 다른 말의 도움이 필요(명사 이외의 것) | |
의미의 실질성 | 실질 형태소 | 실질적 의미 있음(명사 & 어근 : 형태소 이외의 것) |
형식 형태소 | 실질적 의미 없음(접사, 조사, 어미) |
*** 어근과 어간은 따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접사, 조사, 어미를 빼고 나머지는 실질 형태소라고 생각하는 것이 구분하기 쉽습니다.
[꽃 사이로 발자국을 찾아 나서면]
어절 → 단어 → 형태소로 나누는 과정
꽃 / 사이로 / 발자국을 / 찾아 / 나서면
꽃 / 사이 / 로 / 발자국 / 을 / 찾아 / 나서면
꽃 / 사이 / 로 / 발 / 자국 / 을 / 찾 / 아 / 나 / 서 / 면
두 가지만 기억하세요!!!
하나! 명사냐? 아니냐?
둘! 접사, 조사, 어미냐? 아니냐?
1. 꽃
① 꽃 : 명사, 자립 형태소, 실질 형태소
2. 사이로
① 사이 : 명사, 자립 형태소, 실질 형태소
② 로 : 조사, 의존 형태소, 형식 형태소
3. 발자국을
① 발 : 명사, 자립 형태소, 실질 형태소
② 자국 : 명사, 자립 형태소, 실질 형태소
③ 을 : 조사, 의존 형태소, 형식 형태소
4. 찾아
① 찾 : 어간이면서 어근, 의존 형태소, 실질 형태소
② 아 : 연결어미, 의존 형태소, 형식 형태소
5. 나서면
① 나 : 어간이면서 어근, 의존 형태소, 실질 형태소
② 서 : 어간이면서 어근, 의존 형태소, 실질 형태소
③ 면 : 연결어미, 의존 형태소, 형식 형태소
728x90
반응형
'국어공장 > 국어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 겹문장의 형태(1) 이어진 문장 (0) | 2022.05.19 |
---|---|
[문장] 홑문장과 겹문장 (0) | 2022.05.19 |
[중세국어] 훈민정음 (0) | 2021.08.07 |
[단어] 어절, 단어, 형태소 (0) | 2021.06.12 |
[문장] 피동표현 (0) | 2021.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