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방법

[과학] 과학은 문제집부터 풀어라

재경쌤의 지식공장 2023. 4. 8. 17:45
728x90
반응형

 

첫 걸음은 문제집으로

 

공부에는 여러 방법이 있어요.

 

그중에서 오늘 진행할 방법은

문제집을 활용한 접근법이랍니다.

 

이 방법은 과학에 약점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에요.

 

과학에 약한 이유가 사실은

공부할 포인트를 잡지 못하기 때문이거든요.

 


 

아는 게 없는데 어떻게 풀어요?

"이런! 이런!"

 

문제집을 푸는 건 하수나 하는 거죠.

바로 해설지를 펴고 시작해요.

 

왜냐고요?

 

문제를 푸는 게 목적이 아니라

문제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니까요.

 


 

문제집을 분석할 때 봐야 할 것

3가지

 


 

첫째, 중요한 부분은 어디?

 

문제집에서 다루는 부분이 있습니다.

당연히 중요하기 때문이죠.

 

실험이 될 수도 있고,

포괄적인 특징이 될 수도 있고,

사소하다고 생각한 부분이

클로즈업 될 수도 있을 겁니다.

 

이 부분들을 모아모아

문항으로 만듭니다.

 

그리고

 

이 문항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멋진 포인트 노트가 됩니다.

과학 과목은

학습 포인트를 잘 잡아야

공부하기 쉽다는 거 잊지 말아요.

 


 

둘째, 용어를 분명히 하라

 

과학은 용어의 개념만 정확해도

공부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대충 이런 뜻이겠거니 하다가는

공부하느 내내 막히게 됩니다.

 

용어를 공부할 때

단순히 사전적 의미만 아는 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 용어가 교과서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다른 부분과 연계되고 있는지를

확실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아하! 이런 거구나!"

 

머릿속에서 종소리가 울릴 때까지

용어를 파고 들어야 합니다.

 

이때 인터넷 강의를 듣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문제집은 무슨 상관이냐고요?

용어들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죠.

 

용어를 알면 부수적인 효과도 있어요.

나중에 암기할 때 알게 되겠지만

거짓말처럼 술술 외워진답니다.

 


 

셋째, 그림 - 도표 - 그래프

 

문제집을 보면

그림, 도표, 그래프가 많습니다.

 

이 그림, 도표, 그래프를 활용하면

멋진 노트가 만들어집니다.

 

문제집에서

그림, 도표, 그래프를 뽑아

이를 중심으로 정리해봐요.

 

정리도 수월하게 되고,

문제 적응력도 훨씬 좋아집니다.

 


 

 

학습 루틴 정리

 

① 교과서를 읽으며 내용을 살핀다.

 

② 문제집과 해설집을 펼친다.

 

③ 학습할 포인트를 뽑는다.

 

④ 사용할 그림, 도표, 그래프를 정한다.

 

⑤ 문제집, 검색, 인강으로 용어를 익힌다.

 

 학습 포인트에 맞춰 노트를 정리한다.

 

 노트 정리할 때 그림, 도표, 그래프를

최대한 활용한다.

 

⑧ 노트 정리에 학교 학습지 내용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⑨ 정리한 노트를 외운다.

 

⑩ 메모지에 학습 포인트 항목만 적는다.

 

⑪ 항목만 보고 내용을 떠올린다.

 

떠오르지 않는 건 다시 외운다.

 

⑬ 완전 암기될 때까지 ⑪~⑫를 반복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