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

[질서] 정리정돈, 꼭 필요한가요?

재경쌤의 지식공장 2021. 6. 10. 16:04
728x90
반응형

아이들이 엄마에게 혼나는 이유 중에 학습 다음으로 많은 것이 정리정돈 아닐까요?

그런데 여러분은 여러분의 자녀에게 왜 정리정돈을 시키려고 하시나요?

 

대표적인 대답을 세 가지로 간추려 보겠습니다.

 

첫째, 이것도 못한다면 도대체 뭘 하겠다는 건가?

둘째, 당연히 해야 하는 거 아닌가?

셋째, 어릴 때부터 배워야 해. 어지는 사람 따로 있고, 치우는 사람 따로 있는 거 아니잖아? 하여간 아빠 닮아가지고는.

 

동의하십니까?

그럼 이 대답에 대한 아이들 반응은 어떨까요?

 

첫째, 사람마다 잘하는 게 달라. 정리정돈 못해도 똑똑한 사람은 얼마든지 있다고.

둘째, 그건 유교의 잔재야. 고정관념이지.

셋째, 어지는 사람 따로 있고, 치우는 사람 따로 있는 거 맞아. 사람은 자신이 잘하는 걸 하고 살아야지. 청소를 잘하면 청소를 하고, 운동을 잘하면 운동을 하고. 뭐가 문제라는 거야?

 

아이들 말도 일리가 있습니다.

 

그럼 도대체 재경쌤의 생각은 어떠냐고요?

누구편이냐고요?

이제부터 함께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필요하다고 강조하기 전에 그 이유부터 알자!

 

누군가를 설득하려면 자신부터 철저하게 준비가 되어야 합니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모두가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 말하면서도 정작 증거는 대지 못하는 거랑 비슷하답니다.

 

정리정돈은 정말 필요한 겁니다.

독도가 우리땅인 것처럼 말입니다.

답을 알았다면 이제 그 이유를 알아야 할 차례입니다.

모두 저를 따라서 그 이유를 파헤쳐 볼까요?

 


세상 모든 것에는 기준이 있다.

 

자연의 법칙이란 말 들어본 적이 있나요?

세상 모든 것에는 규칙이 있다는 말입니다.

 

이야기 하나를 들려 드리겠습니다.

 

어떤 아이가 혼자 우두커니 한곳을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친구들이 노는 걸 쳐다보고 있었던 겁니다.

내성적이었던 아이는 놀이에 끼지 못하고 부럽게 바라볼 뿐이었습니다.

 

"이얍!"

"으랏차!"

 

서로의 엉덩이를 부딪히며 꺄르르거리는 것이 얼마나 부러웠는지 모릅니다.

그런데 그 아이들 중 한 명이 자신에게 다가오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잔뜩 긴장한 아이에게 그 아이가 말했습니다.

 

"우리 같이 놀자."

 

그 말에 신이 난 아이는 다른 아이들과 함께 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즐거운 시간은 금방 끝이 나고 말았습니다.

자신이 다른 아이에게 엉덩이 치기를 했는데 그 아이가 울어버린 겁니다.

 

"으앙! 저 아이가 때렸어!"

 

그 바람에 부모님들까지 나와서는 한바탕 싸움이 벌어졌습니다.

아이의 말을 들어보니 서로 자신의 아이가 잘못한 게 없는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사실 표면적으로는 둘 모두 잘못이 없습니다.

한 아이는 엉덩이 치기 놀이에 참여해서 열심히 논 것 뿐이고, 다른 한 아이는 엉덩이 치기가 너무 강하고 아파서 운 것이 이 사건의 전부입니다.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표면적인 거고, 실제로 잘못한 아이는 있습니다.

바로 엉덩이 치기를 한 아이입니다.

 

뭘 잘못했냐고요?

규칙을 지키지 않았습니다.

아이들 놀이에 특별한 규칙은 없었다고요?

아니요.

보이지 않고, 정하지 않았을 뿐 규칙은 있었습니다.

 

어느 정도의 세기까지 엉덩이 치기가 놀이로 허용되는지 은연 중에 약속되어 있는 겁니다.

아이는 그 세기의 기준을 넘어선 겁니다.

 

오늘 처음 노는데 그걸 어떻게 아냐고요?

그건 그냥 아는 겁니다.

그걸 알 수 있도록 하는 힘이 바로 기준을 세우는 힘입니다.

 

정리정돈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물건부터 시작해서 하나하나의 기준을 알아가다 보면 여러 가지 일에도 기준이 있다는 걸 알게 됩니다.

그래서 이게 부족한 아이는 사회성이 떨어지게 된답니다.

이기적으로 자신의 것만 주장하는 아이가 될 수도 있고, 눈치 없는 아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어머니 모임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무 규칙도 없는 것 같지만 모임마다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과 성향이 맞지 않으면 그 모임을 유지하기 힘들어집니다.

 

여러분은 모임의 성향을 누가 꼭 알려줘야 아나요?

그건 그냥 느끼는 겁니다.

기준을 잘 세우는 사람일수록 이런 부분에 강합니다.

또한 기준을 잘 세우는 사람은 성향이 맞지 않는 곳에서도 잘 지냅니다.

왜냐고요?

모임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그 경계를 지키면서 최대한 자신에게 맞추기 때문입니다.

 


정리정돈은 사회성을 길러준다.

 

앞서 말했듯이 정리정돈은 사회성을 길러줍니다.

조금 뜬금없는 결론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거 알고 있나요?

유교는 유학이라고 하는 학문의 하나라는 걸 말입니다.

 

유교에서는 인성을 중요시합니다.

왜냐하면 인성이 좋고, 사회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능력이 좋다는 걸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인성을 중요시하는 겁니다.

바로 거기에 숨은 비밀이 세상의 기준을 알아가는 힘이랍니다.

 

정리정돈이 잘 되고 모든 일에 기준을 세워 바르게 행동하는 아이는 능력이 좋다는 진리를 알게 된 겁니다.

 

능력있고 사회성 높은 멋진 아이를 키우고 싶으십니까?

오늘부터 당장 정리정돈부터 시켜 보십시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