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공장/비문학

[2022 수능특강 독서] 인문·예술 6강

재경쌤의 지식공장 2021. 6. 13. 15:17
728x90
반응형

[기본정보]

 

- 제목(제재) : 영화 음향의 다양한 차원

- 주제 : 영화 음향은 충실도, 공간, 시간 등 여러 요소들과 관련하여 다양한 차원을 구축한다.


[문단별 내용구성]

 


[핵심체크]

 

1. 충실도

① 음향이 영상의 근원에 해당하는가?

... 이건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영상에 강아지가 짖으면 강아지 소리가 나야지 고양이 소리가 나면 웃기잖아요.

② 음원에 대한 경험과 관객의 기대

... 강아지 소리를 들려주려고 강아지 소리를 직접 녹음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그러면 질은 좋아지겠죠. 하지만 사람이 강아지 소리를 흉내내더라도 관객이 강아지 소리로 느끼면 그걸로 충실도가 충족된다는 말입니다.

 

충실도란 관객이 이런 소리가 날 거라고 생각하는 기대에 부응하는냐에 대한 문제입니다.

 

2. 내재 음향 vs 외재 음향

① 내재 음향 : 줄거리 안의 음향(등장인물의 목소리)

② 왜재 음향 : 줄거리 밖의 음향(배경 음악, 외부 해설자의 목소리)

 

3. 내적 내재 음향 vs 외적 내재 음향

① 내적 내재 음향 : 등장인물의 내면의 것에 대한 음향

② 외적 내재 음향 : 장면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한 것에 대한 음향

 

Q> 내적 내재 음향인지 외적 내재 음향인지 애매하다면?
A> 관객의 기대에 달림

Q> 고의적으로 내적 내재 음향과 외적 내재 음향을 혼돈하게 만든다?
A> 관객은 생소함을 느낌 → 익숙하지 않은 생소함을 이용해 전달력을 높임
    예) 외부 해설자(외적 내재 음향)가 등장인물(내적 내재 음향)에게 말을 걸고, 등장인물이 이에 대답

 

4. 동조화

음향과 영상의 시간을 일치시키는 것

동시음향과 비동시 음향이 있음

 

5. 동시음향 vs 비동시 음향

 동시음향 : 동조화 된 음향

비동시음향 : 동조화되지 않은 음향(회상 음향, 상상 음향, 사이 음향)

 

사이 음향은 장면과 장면 사이의 음향을 말한다.

 

6. 영화 음향의 의의

① 음향을 통해 특정 의미를 전달하거나 정서 유발

② 음향을 바탕으로 영화의 의미 해석

③ 영화를 더 효과적으로 감상


[문제분석]

 

이 글은 영화 음향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을 담은 글입니다.

이와 같이 전문적인 설명의 글은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물어보는 문제가 주로 나옵니다.

 

글의 내용을 위 핵심체크와 비교하면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학교에서 치뤄지는 내신 시험의 경우, 미리 내용을 이해하지 않으면 두 가지 문제에 부딪힙니다.

 

① 문제를 푸는데 시간이 부족해집니다.

② 내용이 머릿속에서 빙글빙글 돌면서 무슨 소리인지 자꾸 헷갈리게 됩니다.

 

반드시 핵심체크와 비교하면서 지문을 읽어주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