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탐구공장/생명과학

[유전] 알쏭달쏭한 염색체 관련 개념

재경쌤의 지식공장 2021. 8. 1. 21:46
728x90
반응형

 

상동염색체
(크기와 모양이 같은 두 개의 염색체 쌍)

 

▶ 상동염색체의 구조

 

① 그림의 제일 왼쪽에 보이는 한 가닥 = 염색분체

② 염색분체 + 염색분체 = 염색체

→ 염색체는 염색분체 두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음

염색체를 이루는 2개의 염색분체는 유전정보가 동일

크기와 모양이 같은 아빠 염색체 + 엄마 염색체 = 상동염색체

 

▶ 상동염색체의 다른 말

 

① 염색분체 4개로 이루어져 있어 4분 염색체라고 부름

② 2개의 염색체가 쌍을 이루고 있다고 해서 2가 염색체라고 부름

 

▶ 동원체

 

① 방추사가 붙는 부분 = 동원체

② 간기에는 동원체가 없음

③ 전기 때 방추사가 형성되면서 동원체도 생김


핵상
(쌍의 유무)

 

▶ n과 2n의 차이

 

① 핵상은 염색체에 쌍이 있는지 없는지를 보여주는 것

② 쌍이 있으면 2n

③ 쌍이 없으면 n

 

▶ 핵상 & 염색체 수 & DNA 상대량

① A의 경우

→ 빨간색 쌍이랑 파란색 쌍이 보이지? 그래서 핵상은 2n이야.

→ 염색체 수는 그냥 하나씩 세어주면 돼. 빨간색 2개, 파란색 2개니까 모두 4개네.

→ 2n = 4로 표시해.

→ DNA 상대량은 염색분체 2개를 1로 잡아. 염색분체가 모두 8개니까 DNA 상대량은 4가 되는 거지.

B의 경우

→ 빨간색과 파란색이 하나씩 있네. 근데 쌍이 없어. 그래서 핵상은 n이야.

→ 염색체 수는 그냥 하나씩 세어주면 돼. 빨간색 1개, 파란색 1개로 모두 2개네.

→ n = 2로 표시해.

→ DNA 상대량은 염색분체 2개를 1로 잡아. 염색분체가 모두 4개니까 DNA 상대량은 2가 되는 거지.

③ C의 경우

→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이 하나씩 있네. 근데 쌍이 없어. 그래서 핵상은 n이야.

→ 염색체 수는 그냥 하나씩 세어주면 돼. 빨간색 1개, 파란색 1개, 노란색 1개로 모두 3개네.

→ n = 3으로 표시해.

→ DNA 상대량은 염색분체 2개를 1로 잡아. 염색분체가 모두 3개니까 DNA 상대량은 1.5가 되는 거지.


핵형
(염색체 수, 모양, 크기 등 염색체의 형태적인 특징)

 

▶ 핵형의 특징

 

① 같은 종 & 같은 성별 = 핵형도 같음

→ 종과 성별에 따라 핵형이 다름

 핵형 분석으로 알 수 있는 것 : 성별, 염색체 수, 구조 이상

③ 핵형 분석으로 알 수 없는 것 : 유전자 이상

④ 여자의 핵상과 핵형

→ 핵상 : 2n = 44 + XX

→ 핵형 : XX

⑤ 남자의 핵상과 핵형

→ 핵상 : 2n = 44 + XY

→ 핵형 : XY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