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쌤의 소소한 팁] 서술형 문제 따라잡기
서술형 문제! 왜 틀리는 걸까?
많은 학생들이 서술형 문제로 고생을 하더군요.
사실 객관식보다 서술형이 더 쉬운데 말이죠.
객관식은 헷갈리게 함정을 파놓기 때문에 까다로운 반면,
서술형은 외운 걸 그냥 쓰면 되니까요.
그럼 서술형 문제를 학생들이 왜 어려워하는지 하나씩 살펴 볼까요?
[유형 1] 뭘 물어보는지 모르겠어요.
→ 이건 그냥 공부가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공부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네요.
→ 물론 공부를 어느 정도 하긴 했는데 문제 파악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어요.
이런 경우에는 문제에서 물어보는 걸 하나씩 밑줄을 쳐서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지 체크하는 게 필요해요.
문제) 위화도 회군의 결과로 이성계는 어떤 성과를 얻었는지 서술하시오.
# 위 문제에서 포인트는 3개네요.
1. 위화도 회군의 결과
2. 이성계의 성과
3. 서술하시오
1. 이 문제를 풀려면 우선 위화도 회군 이후에 있었던 일을 생각나는 대로 나열해봐요.
2. 그리고 그중에서 이성계에게 도움이 된 일만 뽑아서 적으면 돼요.
3. 마지막으로 서술하라고 했으니까 ‘~다.’로 마무리 해주면 되겠네요.
*** 여기서 중요한 사실! ***
문제 파악이 잘되지 않는 것도 사실은 공부가 부족해서 일어나는 일이에요.
뭘 물어보는지 잘 모르겠다면 아직 공부가 부족하다는 뜻이니 공부 좀 합시다.
[유형 2] 답은 맞는데 선생님이 치사하게 틀렸다고 해요.
→ 그럴 리가요.
이런 학생은 백발백중 문제에서 제시한 조건을 어긴 것입니다.
조건을 체크하는 건 서술형 문제에서 필수죠.
문제) 과전법의 실시목적을 신진사대부의 입장에서 2문장으로 서술하시오.
# A 학생 : 권문세족의 권력이 약화되었고, 그로 인하여 왕권이 강화되었다.
# 답이 괜찮아 보이죠?
오답입니다.
이유를 알아볼까요?
# 하나, 신진사대부 입장에서 서술하라고 했죠.
그런데 그냥 과전법의 결과를 서술했네요.
# 둘, 2문장으로 하라고 했죠.
그런데 왜 1문장으로 했을까요?
# 신진사대부는 과전법을 통해 정치적, 군사적 실권을 장악하였다.
# 신진사대부는 과전법을 통해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 이게 옳은 답입니다.
# 우선 신진사대부 입장에서 과전법이 어떤 의미인지 단답형으로 생각해보세요.
# 그리고 그 앞에 ‘신진사대부는’, ‘과전법을 통해’라는
물음에 나온 말을 넣어 주고,
단답형 답을 적고,
‘~다.’만 붙이면 끝.
문장을 만들 필요 없이 단답형 답을 문제에 끼워 넣기만 해도 답이 완성되죠.
[유형 3] 부분 점수라도 받을 수 있었는데 조금 더 설명하다가 부분 점수도 못 받았어요.
그래도 정답을 다 적었는데 부분 점수는 줘야 하지 않나요?
→ 아니요.
그냥 0점이 맞습니다.
여러분이 홍콩에 가서 음식을 사 먹는데 고수가 싫어서 고수가 없는 음식을 시켰어요.
그런데 고수가 들어있는 겁니다.
인에게 따졌더니 고수가 더 들어간 것뿐이지 다른 재료는 같으니 그냥 먹으랍니다.
여러분은 이럴 때 어떻게 하겠습니까?
사실 재료가 좀 부족해도 맛이 크게 나쁘지 않으면 먹을 만하죠.
이런 경우는 부분 점수입니다.
그런데 고수를 싫어하는데 고수가 들어가면 아예 못 먹죠.
이런 경우는 0점입니다.
→ 서술형 문제를 풀 때는 서술형 문제라는 생각을 버리세요.
단답형으로 풀고, 문제에 단답형 답을 끼워 넣으면 끝입니다.
→ 설명과 서술은 다릅니다.
서술은 정해진 답을 쓰되 ‘~다.’로 끝나는 서술 형태로 쓰라는 것이지,
문제의 물음에 대해 아는 대로 전부 설명하라는 게 아닙니다.
문제) 고려 후기에 지눌의 불교 통합 운동으로 창시된 불교 종파를 쓰고, 그 특징을 제시된 단어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서술하시오. [제시어 : 교종, 선종]
# 첫 물음이 종파네요.
근데 이건 서술하란 말이 없어요.
이런 경우에는 종파 : 조계종이라고 쓰면 됩니다.
# 통합했다는 사실은 위에 나와 있구요.
어떻게 통합했냐만 적으면 되죠.
특징 :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통합하였다.라고 하면 되겠네요.
# 보다시피 제시어 2개를 모두 사용했고, 어떻게 통합했는지 통합방식에 대해 설명했네요.
# 정답은 종파 : 조계종, 특징 :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통합하였다.입니다.
[유형 4] 답은 알겠는데 어떻게 써야 할지 모르겠어요.
→ 앞서 말한 부분인데요.
제발 설명하려고 하지 말아요.
답을 알겠으면 일단 단답형으로 답을 적으세요.
그 다음에 문제에 나온 조건에 맞추어 나가면 돼요.
→ “빼액! 문장이 안 만들어진다구요!”
아이고 귀 아파라!
이것도 이야기했잖아요.
문장을 왜 만들어요?
그냥 문제 베끼면 되지?
문제) 조선 세조 무렵, 건국 당시의 토지 제도에서 발생한 문제점에 대해 서술하시오.
# 이거 물음이 제법 광범위하죠.
하지만 우린 간단하게 단답형으로 생각해봐요.
# 일단 문제를 풀려면 토지 제도가 뭔지 알아야 문제점도 알겠죠?
건국 당시의 토지 제도는 과전법입니다.
# 과전법의 문제점은 관료들에게 지급할 토지 부족입니다.
# 그러면 건국 당시의 토지 제도 대신에 과전법을 넣고,
발생한 문제점으로 관료들에게 지급할 토지 부족을 넣습니다.
# 정답은요?
조선 세조 무렵, 과전법에서 발생한 문제점은 관료들에게 지급할 토지가 부족해졌다는 점이다.
# 문제랑 비교해볼까요?
조선 세조 무렵, 건국 당시의 토지 제도에서 발생한 문제점에 대해 서술하시오.
도움이 되었나요?
그래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생각되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친절하게 대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