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침묵] 작품 노트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일이든 공부든
자신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알고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품 노트는
작품을 공부하기에 앞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지침서와 같습니다.
작품 노트의 구성
작품 노트는 다섯 가지 파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나, 기본 정보.
둘, 작품 내용 탐구.
셋, 해당 작품만의 특징.
넷, 등장하는 용어 정리.
다섯, 중요한 학습 포인트.
이렇게 나눠 놓고 정리하는 게 익숙해지면
작품을 이해하고, 외우고, 기억하기가 쉬워집니다.
갈래, 성격, 운율, 제재, 주제.
이렇게 다섯 가지가 기본 정보에서 다룰 내용입니다.
사실 기본 정보는 외우는 게 아니라
작품을 보고 알 수 있어야 하는데
여기서 거기까지 설명하는 건 무리입니다.
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연의 구분이 없는 사설조 산문
성격 : 상징적, 의지적, 여성적
운율 : 내재율, 여성적 어조, 영탄적 어조
제재 : 임과의 이별
주제 : 임을 향한 영원한 사랑
1행 |
임과의 이별 |
2행 |
임이 떠나가던 모습 |
3행 |
의미가 없어진 맹세 |
4행 |
바뀌어버린 운명 |
5행 |
임의 영향력 |
6행 |
새로운 슬픔 |
7행 |
슬픔을 희망으로 |
8행 |
만남에 대한 희망 |
9행 |
신념에 대한 역설적 결의 |
10행 |
결의를 통해 깨닫는 기쁨 |
기(1~2행) : 임의 부재
승(3~6행) : 이별로 인한 슬픔
전(7~8행) : 슬픔의 극복
결(9~10행) : 임에 대한 정진
1. 연가풍의 여성적 어조로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표현
2. 역설적 표현(5행, 9행) → 주제 의식 강조
3. 불교 사상(윤회설, 공-허무)
4. 경어체 사용 → 엄숙한 분위기
5. 반복법과 대구법, 영탄법
6. 다양한 심상 → 시각, 후각, 촉각
7. 님 → 종교적 절대자, 불교의 진리, 빼앗긴 조국, 사랑하는 여인
연가풍 : 사랑하는 사람을 그리워하는 듯한 느낌
윤회설 : 하나의 생명체가 삶과 죽음을 반복함을 뜻함
어조
역설적 표현
불교 사상
비유법
심상
위 내용으로 노트 정리를 하면
아래 자료처럼 만들어집니다.
참고하세요.
[한글 파일 내려받기]